크롬 임시폴더 문제
2015.07.25 02:34
크롬 임시폴더를 만드려면 크롬캐시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크롬 아이콘을 드래그해서 드롭하면 자동으로 추가되는 건 매우 편리합니다.
다만 저는 크롬 아이콘을 작업표시줄과 시작 메뉴에 등록해 놓고 쓰고 있습니다.
바탕화면엔 내 컴퓨터, 휴지통 2개의 아이콘만 있죠.
그래서 폴더를 만드려고 바탕화면에 크롬 아이콘을 만들고 임시폴더를 추가하고 바탕화면에 있는 크롬 아이콘을 삭제하니 크롬 설정도 지워져버리더군요.
크롬 실행 파일을 수동으로 추가하고 싶은데 파일형식을 lnk만 지원하니 이게 안 되네요.
이점이 좀 불편합니다.
시스템을 종료할 때 램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이나 프로그램상에서 임시폴더를 바로 열어보게 해서 삭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1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393 |
코드 재발급 문의드립니다.
[1] ![]() | cjrdkdu24 | 2023.05.27 |
392 | 안녕하세요? 엣지(Edge)를 램디스크 임시폴더로 잘 쓰고 있었는데 어느순간부터 안되는 거 같네요 [1] | 무심 | 2023.05.18 |
391 |
재설치 코드
[1] ![]() | 문찬영 | 2023.05.14 |
390 | Win11 22H2 에서 동적메모리 할당 [1] | 하메론 | 2023.05.11 |
389 |
등록코드를 분실했습니다.
[1] ![]() | hapineslee | 2023.04.28 |
388 |
기본 램 디스크 저장에서.
[2] ![]() | MIRINA | 2023.04.16 |
387 | 임시파일이 삭제가 안돼요 [1] | 램디 | 2023.04.11 |
386 |
질문요~
[1] ![]() | 나는재벌 | 2023.04.08 |
385 |
램디스크 사용 관련 문의.
[1] ![]() | 김기복 | 2023.03.28 |
384 | 아래 내용에 이어서 입니다.... 윈도우11 22H2 [1] | 사용자 | 2023.03.15 |
383 | 윈도우11 22621 에서 사용할 수가 없을 정도로 느려지네요 [2] | 사용자 | 2023.03.12 |
382 | Windows 11 22H2 (22621.1344) 에서는 램디스크 만든후 램디스크에다 특정 클라우드 다운로드 하면서 웹서핑을 하면 컴퓨터의 속도가 느려지는 것 같습니다. [1] | Windows11 | 2023.03.10 |
381 |
등록 라이센스 번호를 재발급 받고 싶습니다.
[1] ![]() | 호아은행 | 2023.02.25 |
380 | 렘디스크 설치 했는데 왜 디스크 관리에서 안 보이죠? [2] | 헹리우스 | 2023.02.16 |
379 | 버전 업데이트는 없나요? [2] | 룰루랄라 | 2023.02.14 |
378 | 램디스크로 던파하고 싶은데 [3] | lyw | 2023.01.26 |
377 | 세금계산서 발행가능여부 [2] | COPY | 2023.01.25 |
376 |
Windows11 22H2 22621 에서 발생하는 문제 문의드립니다.
[2] ![]() | 지민이 | 2023.01.11 |
375 |
정품코드 재발급 문의
[1] ![]() | hoony | 2023.01.09 |
374 | 정구구매 관련 문의 [1] | Rap109 | 2023.01.08 |
안녕하세요. 이응소프트입니다.
크롬 임시폴더 설정은 코멘드라인 방식을 사용해서 어쩔 수 업습니다. 크롬에서 지원해주지 않는 이상 바로가기을 사용해야 합니다.
크롬 아이콘을 바탕화면에는 등록하지 않으셔도 작업 표시줄에는 등록하시지 않나요?
작업 표시줄에 아이콘도 lnk 파일입니다.
"C:\Users\사용자\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User Pinned\TaskBar" 폴더를 보시면 작업 표시줄에 등록된 바로가기가 있습니다. 거기서 크롬 바로가기를 끌어 넣어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시작 메뉴에 있는 크롬 바로가기를 끌어 넣기도 됩니다.
백업 및 복구를 설정하지 않으면 램디스크는 시스템 종료시 자동 삭제됩니다.
윈도우8에서 빠른 시작 켜기로 되있으면 삭제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빠른 시작 켜기를 비활성화하면 되구요.
또는 울트라 램디스크 실행해서 해당 램디스크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초기화] 해주면 쉽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